Completed Projects
CEA에 기반한 고속도로 혼잡의 새로운 해석과 교통관리 응용 전략 개발
(2021~2024)
• Complex Eigenvalue Analysis (CEA)는 자연현상이나 기계 시스템의 Dynamics를 표현하는 방정식의 Complex Eigenvalue를 이용하여 시스템 불안정성을 해석하는 방법으로, 주로 소음진동, 구조물 등의 불안정성 해석에 활용됨
• CEA를 이용한 고속도로 혼잡 해석방안을 개발하고, 실제 검지기 Data를 활용하여 새로운 해석방안의 합리성을 검증함
• 새로운 해석방안을 응용하여 Multi-Agent Reinforcement Learning 기반 통합 전략 및 통합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평가함
국토교통부 스마트시티 챌린지 (부천시)
(2020~2023)
• 부천시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첨단 기술을 보유한 민간기업이 주민들과 손을 잡고 스마트 기술·솔루션을 활용해 원도심의 복합적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사업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은 사업의 체계적 관리를 위한 성과 모니터링, Micro-MaaS를 비롯한 다양한 서비스로 구성된 부천 스마트시티의 지속성 평가를 위한 경제성 분석을 담당함
도시고속도로 자율주행 안전구간 선정 및 자율주행협력시스템 구축방안 연구
(2021~2023)
• 교통공학연구실은 도시고속도로 자율주행자동차 도로·교통 환경등의 운행여건을 진단 후 도시고속도로 ‘자율주행 안전구간'최적 노선을 선정하는 하고자 함
• 또한 노후된 도시고속도로 교통관리 센터 고도화 및 자율주행협력시스템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안을 담당함
• 레벨별(부분/완전) 자율주행차 도입 시기에 따른 단계별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자율주행 운행지원 시스템의 효과분석까지 완료할 계획임
지능형 객체 인식 기술을 활용한 실시간 교통 혼잡도 예측 시뮬레이션 운영
(2022~2023)
• 테스트베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혼잡도를 예측하고, 예측된 혼잡도를 기준으로 신호교차로의 혼잡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제어시스템을 개발함
• 제1 판교 지역의 판교역 인근 교차로를 테스트베드로 진행 중임
스마트 졸음운전 대응 체계 개발 연구
(2021~2023)
• 졸음 운전자 모니터링을 통한 졸음운전 인지, 예측, 판단, 조치 단계를 포함하는 대응 체계 개발 및 고속도로 운전자가 졸음 대응 체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졸음운전 플랫폼 구축 방안을 마련하고자 함
• 교통공학연구실은 단말기 예측력 분석 및 졸음수준의 정확도 분석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예측 정확도 향상을 위한 고도화 방안 기술 분석을 담당
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개발 및 실증 연구
(2020~2022)
• 도로조명에 센서 및 ICT 기술을 접목하여 도로환경 정보를 수집하고, 위험상황을 인지 판단하여 디지털 사인(Digital Sign) 및 I2X 연계를 통해 이용자 위험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통사고 저감에 기 여하고자 함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본 연구단 전체의 성과 관리 및 성과 분석과 스마트 도로조명 플랫폼 도입을 위한 법제도 검토 및 개선방안 도출 연구를 담당
신호교차로 서비스 수준 분석 연구
(2020~2021)
• 순천시에 기 설치되어 있는 ITS 데이터 수집체계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신호교차로 서비스 수준(Level of Service, LOS)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연구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RSE 차량검지데이터를 활용하여 교차로 서비스 수준과 교통축 서비스 수준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의 개발하였으며, 이동류별 구간통행속도 산출을 위한 DSRC-RSE 구간매칭 프로세스를 개발
자율주행차 운행을 위한 고속도로 진단 연구
(2020~2021)
• 자율주행차(Automated Vehicle)는 운전자가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차가 주행환경을 인식하고 경로를 계획해 스스로 안전운행이 가능한 자동차임
•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의 안전한 고속도로 운행을 위해 법∙제도 및 인프라 여건을 진단하고 자율주행차 시대의 교통관리전략을 개발하는 연구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장래 자율주행차 운행비율 예측치에 따라 자율주행차 도입단계별 교통관리전략을 개발하고, 각 전략을 미시교통류시뮬레이션 VISSIM 에 구현하여 그 효과를 분석함
선택 및 잠재변수 통합모형(ICLV)을 활용한 무인 배송서비스의 소비자 수용행태 분석
(2021)
• 기존 무인 배송에 관한 연구는 자율주행차 및 드론의 생산과 이를 활용한 배송서비스 자체에 집중되어 왔음
•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무인 배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수용 행태모델 개발을 통한 무인 배송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adoption behavior 분석 및 무인 배송서비스의 발전 및 개선 방향 도출임
• ICLV(Integrated Choice and Latent Variable) 모델링을 통해 선택상황에 의한 행태이질성과 개인 성향 및 태도에 의한 행태이질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소비자의 무인 배송서비스 수용 행태 를 분석함
정시성 확보 및 안정적인 공급체계 마련을 위한 장애인콜택시 학술연구
(2020)
• 장애인콜택시는 보행상 장애가 있는 장애정도가 심한(1~3급) 장애인을 이용대상으로 하는 이동편의 제공서비스임
• 본 연구는 장애인콜택시 운행현황 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현재 운영체계 문제점을 진단하고 고객중심의 정시성 확보 및 안정적인 차량공급을 담보할 수 있는 시스템 개선방향 도출한 연구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운행데이터 기반의 장애인콜택시 운영성 분석 시뮬레이션 dSIM2020을 개발하고, 장애인콜택시 정시성 확보를 위한 여러 운영전략들에 대한 효과를 분석함
교통약자를 위한 MaaS 개념설계 및 최적운영전략 개발 (2017~2020)
• MaaS: Mobility as a Service의 약자로 모든 교통수단 정보를 통합하여 이용자들의 필요에 따라 목적지까지 스마트 모빌리티서비스를 제공함
• 향후 도입될 미래 교통시스템의 운영전략 개발을 목표로 함
자율협력주행 도로시스템 Test Bed 구축 및 운영
(2017~2020)
• 자율협력주행차(Cooperative and Automated Vehicle)란 CACC (Cooperative Adaptive Cruise Control), VPS (Vehicle Platooning System)등의 기술 및 MANET, VANET 등의 Network 통신 모듈이 적용되어 주변 차량 혹은 인프라와 통신이 가능한 차량임
• 본 연구는 CAV에 맞는 교통관리전략을 개발하고, 각 전략을 VISSIM Simulation상에 구현하여 교통류 개선효과를 분석한 연구임
몽골 울란바토르 Smart Mobility Platform 수요추정 및 경제성 분석
(2020)
• 본 연구는 몽골 울란바토르시의 통합 교통관리체계를 마련하는 모빌리티 스마트 통합 플랫폼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 및 개발 방향을 정립하고, 사업계획의 구체화, 경제성 분석, 재무적 타당성분석을 진행하는 연구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은 본 사업에서 제시한 총 6가지 단위 모빌리티 서비스(차량 호출, DRT, 공항버스, 스마트주차, 공유자전거, 버스(BRT))의 수요를 추정하고 편익추정방법론을 개발하여 편익 추정 및 경제성 분석을 진행함
인천공항 항공수요예측 및 분석
(2020)
• 일반적인 항공수요 예측은 공항시설의 적정규모, 신규확장 사업의 적정시기 판단 등 중장기 관심사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으며, 방법론 측면에서는 여객과 화물 공통적으로 회귀분석모형, 시계열분 석모형 등이 주로 활용되어 왔음
• 본 연구는 여객과 화물에 대하여 각각 3개의 Time-frame(이벤트, 단기, 중장기) 별로 GRU 등 딥러닝 기반의 신규 방법론을 다양하게 적용하였고, 인천공항 지능형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는 Code 로 개발하였음
택시와 라이드소싱 서비스의 이용자 선호도 분석 연구
(2020)
• 본 연구는 플랫폼 운송사업이 국내에 도입되면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국민 공감대 형성과 사회적 갈등관리 방안을 제시하며, 사회적 갈등 해 결을 위한 플랫폼 운송사업의 제도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임
• 교통공학 연구실은 택시와 라이드소싱 서비스를 경험한 이용자(소비자)에 대하여 경험한 모빌리티 서비스의 항목별 만족도를 조사하고 비교함
• 또한, 서비스의 잠재적 이용자(소비자)에게 다양한 이동상황에서 시나리오에서 일반택시, 앱호출 택시 그리고 라이드소싱 서비스 중 어떤 모빌리티 서비스를 이용할지 선택하게 하여 상황별, 이용자 별 서비스 선호도를 분석함
고속도로 접속부 교통정체 개선을 위한 관리체계 조사 분석 연구
(2019~2020)
• 본 연구는 고속도로 접속부의 교통정보 수집방안을 정립하고 교통정체 개선을 위한 교통관리 절차를 수립하는 연구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고속도로 소통자료 분석을 통해 정체기준 속도를 제안하고 접속부 정체등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
스마트 신호운영시스템 개발
(2017~2019)
• SMART SIGNAL(Smartest Model of Adaptive Road Traffic SIGNAL)이란 교통정보 빅데이터를 이용해 정체를 예측·판단하고, 이를 이용하여 혼잡을 예방하는 실시간 신호제어 시스템임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도시부의 소규모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한 SMART SIGNAL의 구축과 SMART SIGNAL의 시험평가 및 효과분석을 수행함
고위험군 운전자 행동개선 및 위반억제 기술개발
(2014~2018)
• 교통사고 요인 중 고위험군 운전자 인적요인에 대한 위험요소를 분석하고, 시뮬레이터 기반 교육대책, 안전운전 모니터링 시스템 등을 마련한 연구임
• 안전운전 지식수준과 위험상황 대응능력을 높이고 안전운전 의식을 제고하여 인적요인에 의한 교통사고를 줄이고자 시뮬레이터 기반 안전운전 평가 교육 S/W를 개발함
• 교통공학연구실에서는 고위험군의 시뮬레이션 실험의 전반을 관리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안전 운전능력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요소를 도출하고,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기술을 개발함
공유교통 도입을 위한 서울시 장애인콜택시 서비스 고도화방안 연구
(2017~2018)
• 공유교통 개념 도입을 통해 기존의 서울시 장애인콜택시 서비스를 개선시키고, 장애인의 이동편의를 증진시키며, 서울시의 복지재정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수행함
• 장애인의 이동과 관련된 현행 법규, 국내외 장애인콜택시 현황 등을 폭넓게 조사하고 서울시 장애인콜택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장애인콜택시 서비스 체계 내 공유교통 도입 방안을 제시함
교통부문사업 편익산정 방법론 연구
(2015~2017)
• 본 연구는 교통부문사업의 편익산정과 관련하여 공공투자사업의 평가가 활성화된 국외사례를 조사하고, 선택가치와 비사용가치, 화물통행시간 절감편익, 정시성 향상, 쾌적성 증가 등의 신규 편익 항목 도입 필요성 및 계량화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함
• 또한,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, 통행시간 절감편익, 교통사고 감소편익, 환경비용 절감편익 등 기존 편익항목들에 대해서는 교통환경의 변화에 따른 각 항목들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주요 파라미터에 대한 업데이트를 수행함